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998년 제70회 아카데미 각본상] 후보작 소개, 정보, 줄거리, 수상작 및 선정 이유

by 장미로 태어난 오스카 2025. 3. 25.

 

1998년 아카데미 각본상에는 감정의 진폭이 큰 드라마들이 후보작에 올랐다. 불안정한 천재 청년, 강박과 편견에 사로잡힌 작가, 포르노 산업 속 부조리, 다중 인격의 풍자, 실직의 고통 속 희망. 각기 다른 결을 지닌 다섯 작품은 모두 '인간'이라는 복잡한 존재를 다층적으로 탐구했다. 70회 각본상에 오른 후보작과 가장 진솔하고 강한 울림을 준 수상작을 살펴본다.

 

영화 부기나이트 포스터

 

1. 각본상 후보작 및 각본가 소개

 

굿 윌 헌팅맷 데이먼, 벤 애플렉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마크 앤드러스, 제임스 L. 브룩스

부기 나이트폴 토머스 앤더슨

해리 파괴하기우디 앨런

풀 몬티사이먼 보포이

 

2. 각본상 후보작 정보 : 줄거리, 키워드, 명대사

 

1) 《굿 윌 헌팅

“널 가장 사랑하는 사람은 네가 모르는 걸 인정할 수 있는 사람이야.”

 

보스턴 빈민가에서 자란 윌 헌팅은 MIT에서 청소부로 일하면서도 세계적 수학자도 풀지 못한 문제를 단숨에 풀어내는 천재다. 하지만 과거의 학대 경험과 낮은 자존감, 사회에 대한 반항심 때문에 자신의 재능을 숨기고 산다. 윌은 폭행 사건으로 감옥에 갈 위기에 처하자, MIT 교수 램보의 도움으로 심리 상담을 받기로 하고 석방된다. 윌은 여러 심리학자와의 상담을 거부하다가, 결국 램보의 친구이자 심리학자 숀 맥과이어를 만나게 된다. 두 사람은 끊임없는 충돌과 침묵 끝에 서서히 마음을 열어간다. 숀은 윌에게 네 잘못이 아니야라고 반복하며 그가 스스로를 용서하게 만든다. 동시에 윌은 연인 스카일라를 만나면서 사랑이라는 감정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운다. 친구 채키의 격려와 숀의 조언을 등에 업고, 윌은 마침내 자신이 진정 원하는 삶을 향해 떠난다.


재능만으로는 인생을 바꿀 수 있는가?

과거의 상처는 어떻게 극복되는가?

 

키워드 : 천재, 트라우마, 심리치료, 사랑, 성장, 자아 발견

 

2)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당신 덕분에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어졌어요.”

 

뉴욕에서 살아가는 베스트셀러 로맨스 소설 작가 멜빈 유달은 결벽증과 강박장애, 인종차별과 동성애 혐오까지 안고 있는 골칫덩이 이웃이다. 그는 매일 같은 식당, 같은 자리에서 식사를 하며 예민한 일상을 반복한다. 유일하게 그와 대화해주는 사람은 식당의 웨이트리스 캐롤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옆집에 사는 게이 화가 사이먼이 강도에게 습격당하면서, 멜빈은 사이먼의 강아지를 돌보게 되고, 어쩌다 캐롤과 함께 여행까지 떠나게 된다.

 

이 낯선 조합 속에서, 멜빈은 조금씩 타인을 이해하게 되고, 자기 자신을 변화시킬 기회를 맞이한다. 캐롤은 아픈 아들을 위해 일하며 사는 삶에서 멜빈의 진심 없는 직설화법에 상처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가 조금씩 바뀌고 있음을 느낀다. 세 인물은 각자의 상처를 품은 채 불완전한 방식으로 서로에게 연결되고, 어쩌면 이보다 더 좋을 수도 있는 삶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우리는 어디까지 변할 수 있는가?

사랑은 서로를 고치지 않고도 가능한가?

 

키워드 : 강박장애, 인간관계, 사랑, 용기, 편견, 변화

 

 

3) 《부기 나이트

“나는 누군가의 아들이고, 나는 괜찮은 사람이야. 괜찮은 사람이야…”

 

1970년대 후반, 캘리포니아. 가정과 학교에서 소외된 채 살아가던 십대 소년 에디는 포르노 영화 감독 잭 호너의 눈에 띄어 더크 디글러라는 이름으로 성인 영화계에 데뷔한다. 그는 일약 스타덤에 오르며 마약, , 자유를 누리지만, 그만큼 더 깊은 고립과 허무에 빠져든다.

 

동료 배우들과의 관계, 감독과의 긴장, 점점 무너지는 자신감 속에서 에디는 자아를 잃어간다. 1980년대에 접어들며 산업은 급속히 변화하고, 비디오 시장의 확산으로 잭의 영화 스타일은 밀려난다. 영화는 성인 산업이라는 배경을 통해 인간의 욕망, 자존감, 공동체에 대한 갈망을 그려낸다. 추락한 인물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삶을 다시 붙잡고자 하는 모습은 슬프고도 따뜻하다.


욕망과 자유는 인간을 해방시키는가, 구속하는가?

진짜 가족이란 무엇인가?

 

키워드 : 성인 산업, 욕망, 자아, 몰락, 재생, 소속감

 

4) 《해리 파괴하기(Deconstructing Harry)

“난 좋은 작가는 아닐지도 몰라. 하지만 나 자신을 솔직하게 쓰는 건 잘해.”

 

뉴욕에 거주하는 작가 해리는 자신의 주변 인물들을 소재로 소설을 쓰는 데 거리낌이 없다. 실제 인물과 거의 유사한 캐릭터들, 민감한 관계, 적나라한 감정들이 그의 작품 속에 그대로 반영되면서, 그는 연인, 가족, 친구들로부터 외면당한다. 이로 인해 점점 더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혼동하고, 허구 속 인물과 대화하거나 자신의 상상에 사로잡힌다.

 

해리는 문학상 시상식에 초청되지만, 이를 앞두고 정신적 혼란과 인간관계의 파탄으로 몰락해간다. 영화는 자전적 풍자를 통해 창작자란 존재가 얼마나 고립되고, 때로는 자기파괴적일 수 있는지를 드러낸다. 해리는 동시에 극도로 이기적이지만, 또 인간적이고 솔직한 존재이기도 하다.


자기 인식은 구원인가, 파멸인가?

예술은 어디까지 타인의 고통을 이용할 수 있는가?

 

키워드 : 자전적 창작, 허구와 현실, 정신분열, 작가의 고독, 풍자

 

 

5) 《풀 몬티

“우린 진짜를 보여줄 거야. 남김없이.”

 

잉글랜드 북부 셰필드. 철강 산업의 몰락으로 일자리를 잃은 주인공 개즈는 양육비를 내지 못해 아들과 떨어질 위기에 처한다. 그는 친구들과 함께 스트립쇼를 기획하며 돈을 벌겠다는 기막힌 아이디어를 내놓는다. 처음에는 부끄러움과 조롱이 따랐지만, 점차 이들은 자신감과 자존감을 되찾아간다. 춤을 못 추는 사람, 트라우마가 있는 사람, 나이 든 사람 등 사회적으로 볼품없다여겨졌던 남자들이 무대 위에서 진짜 자신을 보여주기로 결심한다. 그들의 웃음과 눈물, 소심함과 도전은 관객의 마음을 따뜻하게 채운다. 결국 이들은 전부 벗는쇼를 앞두고, 다시 살아갈 이유를 스스로 증명한다.


자존감을 되찾기 위한 인간의 용기는 어디서 비롯되는가?

실업과 상실은 어떻게 유대와 연대로 바뀌는가?

 

키워드 : 실업, 자존감, 남성성, 유머, 연대, 용기

 

 

3. 제70회 아카데미 극본상 수상작 및 선정 이유

 

영화 굿윌헌팅 포스터

 

각본상 수상작 :

 

굿 윌 헌팅맷 데이먼, 벤 애플렉

 

굿 윌 헌팅선정 이유 :

천재지만 상처받은 한 청년의 감정과 심리를 섬세하게 풀어내, 관객과 평단 모두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특히 윌과 숀의 관계는 극 전체의 정서를 관통하며, 두 인물이 서로를 통해 상처를 마주하고 치유해가는 과정은 감동과 울림을 동시에 자아냈다복잡한 인물의 내면을 설명이 아닌 행동과 대사로 설득력있게 그려냈으며, 캐릭터 각각에 깃든 생생한 삶의 결이 돋보인 작품으로, 감성적이면서도 지적인 각본의 모범으로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